신한카드, 카드 업계 최초 통신 데이터 융합 AI 금융사기 방어 체계 구축
신한카드(사장 박창훈)는 정부와 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금융사기 근절 종합대책’에 발맞춰, 통신·금융 데이터를 결합한 AI 기반의 금융사기 예방 체계를 카드 업계 최초로 구축했다고 29일 밝혔다. 해당 금융사기 방어 체계는 SK텔레콤의 AI 보안 플랫폼 ‘FAME(Fraud Detection AI for MNO & Enterprise)’을 신한카드의 자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과 연동한 것이 특징이다. ‘FAME’은 통신망에서 탐지된 의심 통화, 비정상 URL 및 악성 앱 접근 정보와 카드 거래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한다.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7월 말 기준 0.57%로 집계돼 전월 말(0.52%)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은 26일 연체채권 정리 규모가 크게 줄면서 연체율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같은 달(0.47%)과 비교하면 0.10%포인트 높아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7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8천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6천억원으로 전월(5조7천억원) 대비 4조1천억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체 연체율이 오름세를 보였다. 신규연체율은 0.11%로 전월과 같았으며, 지난해 같은 달(0.12%)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기업대출 연체율이 0.67%로 전월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2%로 0.08%포인트 올랐으며, 이 중 중소법인은 0.90%(+0.11%포인트), 개인사업자는 0.72%(+0.06%포인트)로 모두 증가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4%로 전월과 동일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0.09%포인트 높았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세부적으로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0.01%포인트 하락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 가계대출 연체율은 0.86%로 0.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0.76%)과 비교하면 0.10%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금감원은 "7월 말 연체율은 연체채권 정리 규모 감소 영향으로 상승했다"며 "대내외 불확실성과 내수경기 회복 지연으로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히 연체율 상승폭이 크고 취약부문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을 대상으로 부실채권 상매각과 충당금 확충을 지도해 자산건전성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