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인천공항공사, `2025 아태 선도기업 시상식`에서 공항 부문 최고상 수상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지난 11일 저녁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에서 열린 `2025 FTE(Future Travel Experience) APAC(Asia-Pacific) Pioneer Awards` 시상식에서 공항 부문 최고상(Winner)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이번 시상식을 개최한 `퓨쳐 트래블 익스피리언스(Future Travel Experience,`FTE`)`는 영국 항공 전문 매체사로, 매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LG유플러스의 20대 전용 통신 브랜드 `유쓰(Uth)`가 2026년 대학생 트렌드 키워드를 선정했다.
LG U+ 유쓰가 뽑은 2026년 대학생 트렌드 키워드는 `나다움 복수전공`
2024년부터 유쓰는 다가올 트렌드를 정의하고, 트렌드를 이끌 키워드를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대표 키워드는 `나다움 복수전공`이다.
`나다움 복수전공`은 최근 어른이 된 대학생들의 주된 고민인 `나다운 모습`을 찾는 것에서 파생됐다.
남이 말하는 이상적 삶 대신 본 전공뿐만 아니라 복수전공, 대외활동을 하며 나만의 서사를 구축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자신만의 자아를 찾아간다는 의미에서 꼽았다.
유쓰는 나다움 복수전공 외에도 #1인분의 낭만, #안티-퍼펙트, #즉감력, #AI-Me-ing(에이밍) 등 총 5가지를 2026년 대학생 트렌드 키워드로 선정했다.
#1인분의 낭만은 온전히 나를 만족시키는 경험과 극복 속에 `성취감`과 `낭만`을 느끼는 형태를 말한다.
단순히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을 우선하는 개인주의와는 다르게 혼자 여행 계획을 세우고, 나만의 공간을 만드는 등 나 혼자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함께 `나만의 삶`을 가꿔내는 방법이다.
또 완벽하지 않은 상태여도 공감이 되면 `귀엽다`고 생각하는 문화에서 파생된 #안티-퍼펙트, 불확실한 시대에서 `10분 달리기`나 `하루에 한 문장 쓰기` 등 긴 목표보다 짧은 실행과 빠른 결과를 통해 스스로 동기부여 하는 20대를 표현한 #즉감력도 선정됐다.
마지막 키워드는 #AI-Me-ing(에이밍)이다.
대학생들은 AI가 나를 더 잘 도울 수 있도록 학습시키고, 학업/업무 등 외적인 것 외에 내적인 고민까지 위로해줄 수 있게 학습시키는 등 `나`를 닮은 도구로 일상 속에서 사용하고 있다.
2026년 5가지 키워드는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관측된 약 2000만 건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LG유플러스 대학생 서포터즈 `유쓰피릿` ▲AI와 빅데이터로 트렌드를 분석하는 `생활변화관측소` ▲20대 전문 종합 에이전시 `대학내일`과 협업해 결과를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이 키워드로 2026년 유쓰의 브랜드 방향성을 설정하고 20대를 타깃으로 한 마케팅 캠페인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김다림 LG유플러스 IMC담당은 "올해는 특히 AI 기반으로 실제 20대들이 많이 언급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이야기를 분석해 트렌드 키워드를 발표했다"며 "2026년에도 AI 기반으로 20대의 일상이 심플해지는 마케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