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 평가한 비율이 61%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3일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11월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61%로 집계돼 29%인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크게 앞섰고,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1%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61%, 부정 평가는 29%였고 ‘모름·무응답’은 10%였다. 연령별로는 40대(77%)와 50대(71%)에서 긍정 평가가 특히 높았고, 18~29세(45%)와 70세 이상(48%)에서는 절대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긍정 85%·부정 10%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고, 대구·경북은 긍정 50%·부정 36%, 부산·울산·경남은 긍정 55%·부정 36%로 나타났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에서 긍정 90%·부정 7%, 중도층에서 긍정 66%·부정 22%로 국정 지지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보수층에서는 긍정 32%·부정 61%로 부정 평가가 우세해 진영별 평가가 뚜렷이 갈렸다. 국정운영 신뢰도 역시 ‘신뢰한다’ 61%, ‘신뢰하지 않는다’ 33%로 긍정 응답이 두 배 가까이 많았으며, 진보층 91%, 중도층 66%가 ‘신뢰한다’고 답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신뢰하지 않는다’가 67%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1%, 조국혁신당 4%, 개혁신당 3%, 진보당 1% 순이었고, 지지 정당이 없거나 모른다는 태도유보층은 27%였다. 연령별로는 40대(51%)와 50대(50%)에서 민주당 지지가 절반을 넘었고, 70세 이상에서는 민주당 38%·국민의힘 35%로 양당이 경합했다. 광주·전라에서는 민주당 73%, 국민의힘 5%였고, 대구·경북에서는 국민의힘 30%, 민주당 26%, 무당층 30%로 조사됐다.
정책 분야별로 ‘가장 잘 추진할 것 같은 정당’을 묻는 질문에는 모든 항목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복지 정책은 민주당 54%·국민의힘 17%, 외교·통상 정책은 민주당 53%·국민의힘 23%, 남북관계 및 안보 정책은 민주당 50%·국민의힘 25%로 나타났다. 방역·보건 정책(민주 49%·국힘 19%), 고용 정책(민주 46%·국힘 18%), 양극화 해소(민주 44%·국힘 18%)에서도 민주당 우세가 이어졌으며, 두 정당 간 격차가 가장 적은 부동산 정책에서도 민주당 34%, 국민의힘 26%로 민주당이 앞섰다.
사회 안전 인식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다’는 응답이 65%에 달했고, 범죄로부터 안전하다는 인식도 64%로 나타났다. 대형사고로부터 안전하다는 응답은 57%, ‘산업 현장이 안전하게 관리된다’는 응답은 49%였다. 자연재해와 대형사고 안전 인식은 2025년 5월 조사에 비해 ‘안전하다’는 응답 비율이 눈에 띄게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택배 초심야배송(자정~오전 5시) 문제를 둘러싼 인식은 팽팽하게 갈렸다. ‘소비자 편익을 위해 지금처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49%,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심야 배송을 일정 부분 제한해야 한다’는 응답이 45%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18~29세(56%)와 30대(58%)에서는 ‘지금처럼 유지’ 여론이 상대적으로 강했고, 자영업 종사자는 60%가 유지에 찬성했다. 진보층은 ‘일정 부분 제한’ 59%, 보수층은 ‘지금처럼 유지’ 63%로 이념 성향별 인식 차이가 뚜렷했다.
정부 재정 운용 방향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는 ‘국가 재정 상태가 안 좋으므로 긴축 재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0%로, ‘민간 경제 여건이 안 좋으므로 확장 재정이 필요하다’ 38%보다 높았다. 40·50대에서는 확장 재정을 선호하는 응답이 52%로 우세했지만, 20대와 60대 이상에서는 긴축 재정 응답이 각각 57%, 52%로 많았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57%가 확장 재정을 선택했고, 중도층과 보수층에서는 긴축 재정이 각각 49%, 70%로 다수 의견을 이뤘다.
이번 조사는 11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제공한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를 기반으로 성·연령·지역별 층화 확률추출 방식으로 표본을 구성해 면접원이 진행하는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 크기는 1천4명, 응답률은 14.8%였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