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정부가 최근 사용 연령이 확대된 GLP-1 계열 비만치료제와 관련해 “청소년의 경우 반드시 의사 처방 후 허가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해야 한다”며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전 정보 제공에 나섰다.
비만치료제 리플렛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4일, 최근 12세 이상 청소년에게도 사용이 허가된 GLP-1 계열 비만치료제에 대해 “해당 약은 체질량지수(BMI)가 성인 기준으로 30kg/m² 이상이고, 체중이 60kg을 초과하는 청소년 비만 환자에게만 칼로리 저감 식이요법 및 신체활동 증대의 보조제로 처방 가능한 전문의약품”이라고 밝혔다.
GLP-1 치료제는 인슐린 분비 증가, 식욕 억제 등 체중 감소 효과가 있는 약물로, 성인 비만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식약처는 “청소년 비만 환자가 동일 약물을 투여할 경우 성인보다 담석증, 저혈압, 췌장염 등 부작용 발생률이 높고, 위장관계 이상도 더 자주 나타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장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청소년은 체중 감소와 위장 부작용으로 인한 탈수, 영양 결핍 등의 위험이 존재하므로, 의사 처방과 약사의 복약 지도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정부는 오남용 예방을 위해 전국 보건소와 의료기관, 병원약사회 등에 ‘비만치료제 안전사용 리플릿’을 배포하고 있으며, 교육부와 협력해 각급 학교를 통해 가정에 리플릿을 안내하고 ‘함께학교’, ‘학부모On누리’ 플랫폼에도 카드뉴스 등을 게재해 학부모와 청소년에게 정보를 지속 제공하고 있다.
또한 여성가족부와 연계해 ‘청소년1388’, ‘e청소년’, 국립청소년수련원 등 청소년 주요 이용 플랫폼을 통해 맞춤형 안전 사용 정보를 알리고, 온라인 포털 메인 배너 등을 활용한 홍보도 병행 중이다.
식약처는 지난해 10월 해당 약물이 국내 출시된 이후 사용량 증가에 따라 부작용 보고도 꾸준히 늘고 있어, 이를 ‘이상사례 집중 모니터링 대상’으로 지정하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과 함께 부작용 발생 상황을 상시 점검 중이라고 설명했다.
의약품 부작용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의약품안전관리원의 피해구제 제도를 통해 상담과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상담은 1644-6223 또는 14-3330으로 가능하다.
정부는 “향후에도 청소년의 비만치료제 안전 사용을 위한 정보 제공과 교육, 환경 조성에 힘쓸 것”이라며, “의약품이 본래 목적대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각 가정과 교육 현장의 협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