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정부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과 인구 구조 변화, 기후 위기 등에 대비한 국가 미래 전략 수립을 위해 제7기 중장기전략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권오현 위원장
위원회는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을 위원장으로 총 20명의 전문가로 구성됐으며, 2027년 9월까지 향후 2년간 활동한다.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광화문홀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권오현 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구윤철 부총리, 차관보, 위원 등 20명이 참석했다.
중장기전략위원회는 기획재정부 장관 직속 자문기구로, 2012년 설립 이후 미래세대를 위한 국가 발전 전략과 정책 제언을 수행해 왔다.
이번 7기 위원회는 특히 AI, 바이오 등 혁신 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기업인, 청년 창업자, 언론인 등을 포함해 다양성과 대표성을 높였다.
또한 ▲혁신성장반(주요 산업·경제) ▲미래사회전략반(인구·복지·기후) ▲거버넌스개혁반(정부·규제·지역개발) 등 3개 분과위원회를 운영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출범식에서 “중장기전략위원회는 산업구조의 근본적 전환, AI 흐름을 반영한 고용 정책, 지역 주도형 균형 발전, 생산적이고 포용적인 금융제도 확립 등 중요한 과제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미래 전략 수립은 단지 미래 준비를 넘어, 현재의 시급한 문제를 풀어가는 열쇠”라며 “위원회가 정부 정책 설계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향후 2년 동안 분과별 세미나, 미래전략포럼, 전략 컨퍼런스 등을 개최해 분야별 전략을 구체화하고, 산업·고용·금융·기후·지역균형 등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