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의 학부교육 혁신, 대학 최초의 ‘AI 코딩 학습 플랫폼’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가 올해 9월부터 전국 대학 가운데 최초로 AI 코딩 학습 플랫폼 ‘COVI(Code Evidence)’를 자체 서버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LMS)인 ‘건국대학교 e-Campus’에 구축해 운영하면서 대학 교육의 ‘AI 전환’을 선도하고 있다. 최근 대학 교육은 전공을 불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와 컴퓨팅 사고력을 필수 역량으로 요구받고 있다. 이는 단순한 코딩 기술 습득을 넘어 논리적·창의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름으로써, 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SW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기존 대학의 S
보훈공단-서울대병원, 의료 AI 개발 맞손… 보훈의료 서비스 도약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13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김영태) 헬스케어AI연구원(원장 장병탁)과 인공지능(AI) 분야 공동 연구 및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윤종진 보훈공단 이사장과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의료용 AI 기술 및 데이터 활용 공동 연구 △임상 현장 중심 AI 플랫폼 공동 개발 △학술 교류 및 의료 분야 적용 전략 공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이 59%를 기록, 지난주보다 4%포인트(p) 떨어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나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11월 11~13일 전국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는 59%가 ‘잘하고 있다’고 답한 가운데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나타났으며, 대장동 사건 미항소와 국정감사 성과 등 주요 현안에 대한 평가도 뚜렷한 의견 분포를 보였다.
이번 조사에서 대통령 직무 수행 평가는 긍정 59%, 부정 32%로 집계됐다. 긍정 평가는 민주당 지지층과 진보 성향에서, 부정 평가는 국민의힘 지지층과 보수 성향에서 각각 높았다. 연령별로는 40·50대에서 긍정률이 70%대를 기록했고, 20·30대와 60대에서는 50%대, 70대 이상에서는 42%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30%), ‘경제·민생’(14%)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5%)가 2주 연속 최상위에 올랐고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 언급도 새롭게 포함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42%로 8월 중순 이후 유지해온 40%대 구도를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24%로 나타났고, 무당층은 27%였다. 중도층에서는 민주당이 42%, 국민의힘은 19%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으며, 중도층의 33%는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갤럽은 “주간 조사 특성상 세부 지역·연령의 편차는 표본오차 범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정감사 성과 평가에서는 ‘성과 있었다’ 23%, ‘없었다’ 42%, 의견 유보 34%로 집계됐다. 긍정 평가자는 ‘전 정부 문제 밝힘·내란 척결’(10%), ‘새로운 정보 확인’(7%) 등을 이유로 들었고, 부정 평가는 ‘상대 비방·정쟁’이 3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국감에서 활약했다고 언급된 의원은 총 48명으로, 주진우(국민의힘)와 박은정(조국혁신당)이 각각 3%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의 언급 비율이 높아 국감기간 내내 이어진 법사위 공방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장동 사건 관련자에 대한 검찰의 미항소 결정에 대해서는 ‘적절’ 29%, ‘적절하지 않다’ 48%로 부정 의견이 크게 앞섰다. 특히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49%가 적절하다고 본 데 비해 보수층은 67%가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중도층에서도 ‘부적절’이 48%로 우세했고, 대통령·여당 지지세가 강한 40·50대에서도 양론이 비슷하게 갈렸다.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5세로 상향하는 방안에는 72%가 찬성했다. 반대는 21%에 그쳤으며 연령대와 정치 성향을 막론하고 폭넓은 지지가 확인됐다.
올해 3월 조사에서도 찬성이 79%로 유사한 흐름을 보였고, 2013년 정년 55세→60세 상향 당시에도 찬성이 77%를 기록한 바 있다. 고령화 심화와 노동시장 환경 변화가 여론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해 전화조사원이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